국가 수준의 공통 교육과정으로서 성격 명시 썸네일형 리스트형 누리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 제 1부 누리과정의 이해 Ⅳ. 누리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 ■5개 영역의 내용 간략화 개정 누리과정은 [3-5세 연령별 누리과정]의 과다한 세부 내용을 교육과정 대강화 경향에 따라 간략화하자는 요구에 부합하고자 하였다. 교육과정 대강화의 목적은 교과 지식을 적정화하여 학습자의 학습 부담을 줄이고, 학습경험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다. [2015 개정 초.중등학교 교육과정]은 역량 중심으로 개정되면서 교육 내용을 줄여 교육과정을 대강화하였다. 이를 반영하여 개정 누리과정도 [3-5세 연령별 누리과정]에서 제시하였던 369개의 세부 내용을 총 59개의 내용으로 간략화하였다. 유아가 경험해야 할 내용을 연령 구분 없이 제시 개정 누리과정은 5개 영역에 제시된 59개의 내용을 연령별로 구분하지 않고 제시하였다. 이는.. 더보기 누리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 제 1부 누리과정의 이해 Ⅳ. 누리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 ■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으로서 구성 체계 확립 [3-5세 연령별 누리과정]은 2012년 제정 이래 현재까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3~5세 유아를 위한 '공통과정'으로 시행되고 있다. 한편 누리과정을 '교육과정'으로 명시하고, 추구하는 인간상 등을 제시하여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으로서 구성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는 요구가 꾸준히 제기되었다. 이와 함께 역량을 중심으로 개정한 [2015 개정 초.중등학교 교육과정]의 취지와 내용을 누리과정 개정에 반영할 필요성 또한 대두되었다.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으로서 구성 체계 확립을 위한 개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. 국가 수준의 공통 교육과정으로서 성격 명시 [2019 개정 누리과정]은 '성격'을 신설하여 누리과정.. 더보기 이전 1 다음